세르쥬 갱스부르의 영원한 뮤즈이자 에르메스 ‘버킨백’의 탄생시킨 제인 버킨 Jane Birkin

131114-jane-birkin-giancarlo-botti

1960년대 런던 스윙의 물결 속에 한 모델이 등장했다. 그녀는 늘씬한 몸매와 긴 생머리로 청순한 소녀 이미지를 뽐내며 스무 살의 나이로 영국 영화 음악의 거장 존 배리 John barry가 제작한 뮤지컬 ‘Passion Flower Hotel’의 여주인공으로 발탁됐다. 존 배리는 <007 제임스 본드> 영화의 작곡가이며 아카데미와 그레미상을 수상한 천재 음악 감독으로 훗날 이 뮤지컬을 계기로 둘은 부부가 된다. 하지만 평범하지 않았던 남편이었기에 아쉽게도 둘은 첫 딸인 케이트 배리 Kate Barry를 낳고는 3년 후 이혼한다. 이후 제인 버킨은 “세계에서 가장 좋은 아내가 되고 싶었지만, 성에 무지했다. 나는 너무 어렸다”며 회고를 했었다.

00870441_1024x1024
제인 버킨과 존 배리의 결혼식

제인 버킨은 프랑스에서 활동한 프렌치 샹송 가수였던 어머니의 영향을 받고 프랑스로 이적하게 된다. 1968년 파리 영화 오디션 중 운명적인 만남을 갖게 되는데 바로 제인 버킨의 인생에서 빠질 수 없는 남자, 바로 ‘세르쥬 갱스부르 Serge Gainsbourg’와의 만남이었다.

세르쥬 갱스부르는 프랑스의 가수이자 시인 그리고 작곡가로 활동했으며 프랑스 대중음악의 상징이자 괴팍한 천재의 전형을 보여주는 남자였다. 그리고 그는 3가지로 말할 수 있었다. “담배, 여자 그리고 음악”

349104

세르쥬 갱스부르는 제인 버킨과 함께 영화 <슬로건 Slogan>에 출연하면서 그녀가 음악에 재능이 있다는 것을 발견한다. 그는 곧 ‘브리짓 바르도 Brigitte Bardot’와 불륜을 저지르면서 그녀를 위해 만든 곡인 <‘Je t’aime… moi non plus (쥬뗌 므아 농 플리)>를 제인 버킨에게 부르게 한다.

Slogan-1969-3
영화 <슬로건 Slogan>에서의 제인 버킷과 세르쥬 갱스부르

란 곡은 원래 브리짓 바르도가 세르쥬 갱스부르에게 “나를 위해 세계에서 제일 아름다운 곡을 써줘”란 부탁을 받고 그 자리에서 즉석으로 만든 노래였다. 하지만 브리짓 바르도 남편의 노여움으로 인해 결국 녹음은 했지만 발표를 하지 않았던 미발표 곡이었다.

제인 버킨과 함께 발매한 이 곡은 발표하자마자 프랑스 전역에 충격을 안겨줬다. 바로 외설적인 이유로 말이다. 제인 버킨의 신음 소리가 실린 이 곡은 유럽 전 지역에서 방송 불가 판정을 받았고, 로마 교황청은 공식 성명을 발표해 직접적으로 곡에 대한 적대감을 드러냈다. 그럼에도 이 앨범은 제인 버킨의 신음 소리와 누드가 실린 레코드 재킷 때문에 대중들은 열광했다. 이후 제인 버킨과 세르쥬 갱스부르는 12년 동안 프랑스의 대표 커플로 손꼽혔지만 아쉽게도 세르쥬 갱스부르의 마약중독으로 인해 결별하게 된다.

Je t’aime je t’aime

사랑해요, 당신을 사랑해요

Oh oui je t’aime

오, 그래요, 저는 당신을 사랑해요!

Moi non plus

나도 안 사랑해

Oh mon amour

오, 내 사랑

Comme la vague irrésolue

흐느적대는 물결과도 같이

Je vais, je vais et je viens Entre tes reins

저는 가고, 가고 또 와요 당신의 허리 사이를

결별 후에도 제인 버킨은 활발하게 여배우로 활동했다. 이후 영화 감독 자끄 드와이옹 Jacques Doillon과 만나 세 번째 결혼을 하게 된다.

25e7a8f6ce0773713b3996ab1814f9a2

총 세 번의 결혼과 세 딸을 두었지만 안타깝게도 첫 남편 존 배리와의 사이에서 태어난 딸 케이트 배리는 사진작가로 활동하다 2013년 자살했다. 둘째 딸 샬로트 갱스부르는 프랑스 톱 배우로 활동 중이며 셋째 딸 루 드와이용은 제인버킨을 닮아 모델로 활동했었다.

런던 스윙의 모델로, 프렌치 시크의 시초였던 제인 버킨은 지금까지도 왕성한 배우 겸 가수로 활동 중이다.

<제인 버킨의 발매 앨범>

1969: 《Jane Birkin – Serge Gainsbourg》

1973: 《Di Doo Dah》

1975: 《Lolita Go Home》

1978: 《Ex-Fan des Sixties》

1983: 《Baby Alone in Babylone》

1987: 《Lost Song》

1990: 《Amours des feintes》

1996: 《Versions Jane》

1999: 《À la légère》

2004: 《Rendez-vous》

2006: 《Fictions》

2008: 《Enfants d’hiver》

Leave a Reply

Fill in your details below or click an icon to log in:

WordPress.com Logo

You are commenting using your WordPress.com account. Log Out /  Change )

Twitter picture

You are commenting using your Twitter account. Log Out /  Change )

Facebook photo

You are commenting using your Facebook account. Log Out /  Change )

Connecting to %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