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ASHION] 라가머핀 Raggamuffins & 방그라 Bhangra 스타일 (1)

1980년 10월, 마이클 맨리 Michael Manley가 중축이 되어 진행한 자메이카의 사회주의 운동은, 에드워드 시가 Edward Seega가 수상이 되자 갑자기 사그라졌습니다. 미국의 레이건과 영국의 마가릿 댓처의 영향으로, 우경화는 대중문화 특히 음악과 패션에 커다란 영향을 끼쳤다고 합니다. 책 Subculture와 The style of the Mods등의 저자인 딥 헵디지 Dick Hebdige는 자신의 저서 CUT ‘N’ MIX에서 이렇게 말했습니다. “그는 1966년에 공식일정으로 하일레 셀라시 1세를 자메이카에 초대했다. 선거운동에서 표를 얻기 위하여 맨리는 성서 구절을 인용했다. 그리고 그는 사회주의 역사와, 라스타 정신과, 정신적 뿌리의 탐구 등을 뭉뚱그려 매우 강조했다. 결국 사회주의의 뿌리는, 라스타를 탄생시킨 정의와 평등에 있었던 것이 아니었을까.” 라고 말이죠. 그의 말을 따르면 맨리의 사회주의 붕괴는 라스타 컬처에 크고 작은 영향을 끼쳤다고 할 수 있겠습니다.

1980년대에 들어서 에드워드 시가 세대의 젊은이들은 라스타적 정서를 뺀 음악과 춤, 그리고 패션 등에 흥미를 갖기 시작합니다. 그 중 음악은 라가 Ragga혹은 댄스홀 Dancehall라 불리우는 아주 도발적이고 자극적인 스타일이었는데요, 흔히 슬랙네스 Slackness라 불리우는 이 음악의 가사는 섹스, 마약, 총, 돈 등 매우 노골적으로 표현을 하여 자극성으로는 세계 최고라 해도 과언이 아닐 정도였습니다. 보글 Bogle, 산다 바바라 Santa Barbara, 암스트롱 Armstrong 등으로 불리우는 춤은 섹시하다 못해 더티하기까지 했습니다. 하지만 더더욱 자극적인 것을 원했던 젊은이들은 이러한 춤과 가사를 더욱 돋보이게 하기 위하여, 시스루 의상을 입거나, 매우 짧고 노출이 심한 옷을 입기 시작합니다. 가리기 위한 옷이라 하기보다는, 보이기 위한 옷이라고 해야 할 정도로 말이죠. 남자들은 워싱을 잔뜩 한 청바지에 자수나 패치등을 덕지덕지 붙여 유행을 시켰는데, 라가머핀 Raggamuffin(원래 의미는 누더기를 입은 더러운 남자)이라는 이름에는 맞지 않게, 성공과 부를 상징하는 스타일이 되기도 했습니다.

 

 

기존 라스타의 문화가 중심이 되어 겸손하고 자연스러운 스타일과는 정반대로, 소위 요즘 말하는 Swag과 같은 것을 즐기는 문화가 대중적으로 형성이 되었습니다. 성별 관계 없이 무조건적으로 이목을 끄는 튀고 자극적인 스타일 그 자체가 라가머핀 이었다고 할 수 있죠. 자메이카 킹스톤의 다운타운에서 서브컬처로 시작된 단스홀은, 뮤지션들이 마이애미, 뉴욕, 그리고 런던에까지 불을 지폈습니다. 자극적인 의상의 여성들, 패치를 덕지덕지 옷 무게보다 더 나갈 정도로 붙이는 남성들이 한 곳에 꽉 차에 모여 공연을 하게 된 것이지요.

 

오히려 갱스터랩이나 헤비메탈 등에서 찾아 볼 수 있는 높은 수위의 가사와 폭력적인 성향이 라스타의 나라 자메이카에서 생겨난 단스홀에서 표현이 되었고, 과도기에는 비난도 많았지만 비난을 잠식 시켰던 가장 큰 요인은 그들의 패션이었습니다. 당시에는 매우 유니크 했던 그들의 스타일은 벨벳, 레이스, 그물망, 자수, 가죽, 스웨이드, 그리고 여러 색의 데님을 겹쳐 만든 옷감 등, 이미 소위 명품 이라 불리우는 영국의 고급 브랜드들이 위와 같은 요소들을 자신들의 브랜드의 컨셉에 넣으려 서로 쟁탈전을 벌이기도 했을 정도로 혁신적이었다고 합니다.

 

 

2부에서는 방그라 Bhangra 스타일로 이어지며, 라가머핀과의 연관성에 대해서도 다뤄보겠습니다.

Leave a Reply

Fill in your details below or click an icon to log in:

WordPress.com Logo

You are commenting using your WordPress.com account. Log Out /  Change )

Facebook photo

You are commenting using your Facebook account. Log Out /  Change )

Connecting to %s